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임신 중 초음파에서 발견되는 단일 제대 동맥(Single Umbilical Artery)의 원인, 증상, 진단 방법을 확인해보세요.
태아 건강을 위해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합니다.
🌿 단일 제대 동맥(SUA)이란?
정상적인 탯줄(제대)은 2개의 제대 동맥과 1개의 제대 정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하지만 단일 제대 동맥(Single Umbilical Artery, SUA)은 제대 동맥이 1개만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
이는 가장 흔한 제대 이상 중 하나이며, 전체 임신 중 약 0.5%~1%에서 발생합니다. 대부분의 경우 건강한 아기로 태어나지만, 다른 기형과 동반될 경우 특별한 관리와 진단이 필요합니다.
🔍 발생 원인
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, 다음과 같은 요인이 연관될 수 있습니다
- 제대 혈관 형성 중 하나의 동맥이 퇴화하거나 발달하지 않음
- 태아 염색체 이상과 관련 가능성 (예: 18번, 13번 삼염색체증)
- 다태아 임신 시 발생률 증가
- 산모의 당뇨병, 흡연, 약물 복용 등 환경적 요인
- 유전적 요인
대부분 단독 SUA는 자연 발생적이며, 기형과 무관할 수 있습니다
⚠️ 증상 및 영향
단일제대동맥(SUA) 자체는 태아가 뱃속에 있을 때 증상을 유발하지 않지만, 일부 경우 다음과 같은 합병증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
- 저체중아 (SGA)
- 태아 성장 지연 (IUGR)
- 조산 위험 증가
- 신장, 심장, 뇌 등 기형 동반 가능성 (특히 2개 이상의 기형 시 염색체 검사 권장)
- 태반 기능 이상
단독 SUA(기타 이상이 없는 경우)인 경우 대부분 건강한 출산이 가능하므로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🧪 진단 방법
1. 산전 초음파 검사 (2분기 정밀 초음파)
- 임신 20주 전후 시행되는 정밀 초음파에서 탯줄의 혈관 수를 확인
- 제대 혈관 도플러 검사로 확인 가능
2. 태아 심장 및 신장 초음파
- SUA가 발견되면 심장 및 신장 기형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
3. 염색체 이상 검사
- 기형이 동반되거나, 고위험군 산모의 경우 양수검사/비침습 산전검사(NIPT) 권장
4. 출산 후 확인
- 출산 직후 탯줄을 통해 최종적으로 혈관 수 확인 가능
- 신생아기 심장 초음파 및 소아과 진료를 통해 최종 평가 진행
👩⚕️ 단일 제대 동맥 관리 방법
✅ 단독 SUA일 경우 (다른 이상 없음)
- 정기적인 태아 성장 모니터링 (초음파로 성장 곡선 추적)
- 필요 시 태아심박수 검사(NST) 병행
- 대부분 자연분만 가능
⚠️ 기형 동반 시
- 고위험 산과 전문 병원 의뢰
- 유전자 검사 및 추가 정밀 진단 필요
- 조기 출산 대비 필요
📌 임산부 체크리스트
- 임신 중 정밀 초음파 검사를 정해진 시기에 꼭 진행
- SUA 진단 시 다른 장기 기형 동반 여부 확인
- 전문의 상담을 통해 경과관찰 또는 검사 계획 수립
- 출산 후 탯줄 관찰 기록 요청 (의무기록에 반영)
💡 결론
단일 제대 동맥은 비교적 흔한 제대 이상이며, 다른 기형이 없을 경우 대부분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
그러나 동반 기형이나 성장 이상이 발견될 경우, 산전부터 출산까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
정기 검진과 의사의 조언을 잘 따르는 것이 태아 건강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