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🚗 과태료 조회 방법
교통법규 위반으로 인해 부과된 과태료는 온라인, 모바일, 전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경찰청과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사이트를 이용하면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✅ 1. 이파인(eFINE) 경찰청 교통민원24 홈페이지
이파인은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교통범칙금 및 과태료 조회 사이트로, 차량번호와 본인 인증만 하면 본인의 과태료 내역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● 홈페이지 주소: https://www.efine.go.kr
● 조회 가능 내역: 과태료, 범칙금, 벌점, 교통법규 위반 내역 등
🚨 과태료를 미납할 경우 가산금이 붙고, 일정 기간 경과 시 차량 압류 등의 조치가 있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!
✅ 2. 정부24 홈페이지
정부24는 통합 행정 서비스 사이트로, 교통 과태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금 및 납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● 홈페이지 주소: https://www.gov.kr/
● 조회 방법:
- 로그인 후 "과태료 조회" 검색
- 본인 차량 및 위반 내역 입력
- 결과 확인
✅ 3. 카드사 & 은행 앱
일부 카드사 및 은행 앱에서도 교통 과태료 및 벌금 조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카카오페이, 삼성카드, 신한카드 앱 등을 이용하면 교통법규 위반 내역을 확인하고 즉시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.
✅ 4. ARS 전화 조회 (국번 없이 182)
전화를 통해 과태료를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. 경찰청 교통 민원 ARS(182)에 전화하여 차량번호와 본인 확인을 거치면 과태료 및 범칙금 내역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🚦 신호위반 벌금 & 벌점 기준
🚦 신호위반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통법규 위반 중 하나로, 벌금과 벌점이 부과됩니다. 위반 정도에 따라 과태료가 달라지며, 횟수나 상황에 따라 면허 정지 또는 취소까지 될 수 있습니다.
✅ 신호위반 과태료 및 벌점 기준
🚘 차량 종류 | 💰 과태료 (비영업용) | 💰 과태료 (영업용) | 🚨 벌점 |
승용차 | 7만 원 | 8만 원 | 15점 |
승합차 | 7만 원 | 8만 원 | 15점 |
이륜차 | 4만 원 | 5만 원 | 15점 |
자전거 | 경고 조치 | - | - |
📌 벌점이 40점 이상 누적되면 면허 정지! (벌점 1점당 1일 정지)
📌 신호위반 후 사고 발생 시 가중 처벌 적용!
🚨 TIP: 블랙박스 또는 CCTV로 단속되며, 가끔 운전자가 직접 보지 못한 신호위반도 단속될 수 있습니다.
🚦 속도위반 과태료 금액 & 벌점 기준
🚗 속도위반은 도로 위 가장 흔한 교통법규 위반이며, 초과 속도에 따라 과태료와 벌점이 부과됩니다.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(스쿨존) 및 과속 단속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에서는 더욱 엄격하게 적용됩니다.
✅ 속도위반 과태료 및 벌점 기준
🏎️ 초과 속도 | 💰 과태료 (승용차) | 💰 과태료 (승합차) | 🚨 벌점 |
20km/h 이하 | 4만 원 | 5만 원 | 없음 |
20~40km/h 초과 | 7만 원 | 8만 원 | 15점 |
40~60km/h 초과 | 10만 원 | 11만 원 | 30점 |
60km/h 초과 | 13만 원 | 14만 원 | 면허 정지 |
🚨 80km/h 이상 초과 시 면허 취소 및 형사처벌 가능!
📌 어린이 보호구역 내 과속 단속 시 벌금 2배 적용!
📌 과속 단속 카메라는 GPS 내비게이션(티맵, 카카오내비 등)으로 미리 확인 가능!
✅ 과태료 감면 방법 & 이의 신청 방법
🔹 과태료 감면 대상
다음의 경우 과태료 감면 또는 분할 납부가 가능합니다.
- 저소득층, 기초수급자
- 장애인, 국가유공자
- 경미한 교통법규 위반으로 처음 적발된 경우
📌 감면 신청은 지방자치단체 및 경찰청 교통과에서 가능합니다.
🔹 과태료 이의 신청 방법
이파인(eFINE) 또는 경찰청 방문 접수를 통해 이의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이파인 접속 후 "이의 신청" 선택
- 위반 사유 및 증빙자료 제출
- 결과 확인
🚨 이의 신청 후 기각될 경우 추가 가산금 부과 가능! 신중하게 진행하세요.